- 유두-유륜 주변이 약간 충만할 수는 있으나 보편적으로 평평함
- 유두-유륜밑에 있는 샘조직도 바로 아래부위에만 국한되며 덩어리로 만져지지는 않음
- 근육질의 남성에서 가슴위쪽이 충만감 있으나, 유방 밑주름 부위의 아래쪽 가슴은 평평함
- 진성 여유증: 지방의 과다축적과 유선조직의 과다발달
- 가성 여유증: 지방 조직만 과다한 경우
비만 |
- 고열량 식사나, 일인분 음식의의 대량화, 교통수단 발달과 컴퓨터 발달로 활동량의 급격한 저하등의 사회적, 환경적 요인이나 유전적인 원인들로 비만환자들이 계속 느는 추세여서 여유증 환자도 더불어서 늘어나고 있습니다.
|
호르몬불균형 |
- 발달성/생리적
- 생식샘 저하(안드로겐 합성감소/안드로겐 저항성증가)
- 종양(에스트로젠 합성증가)
- 전신성
- 선청성 이상
- 가족성
|
약물유발성 여유증 |
- 여유증과 연관된 약물의 분류
에스트로겐 / gonadotropin / 안드로겐(방향화 기능) / 항남성 호르몬 (cypro-terone, flutamide) / 항암제(특히 ALKYLATING AGENT) / 칼슘통로차단제(VERAOAMIL, DITIAZEM) / ACE 억제제(captopril) / 항고혈압제 / 디기탈리스 도파민 차단제 / 중추신경 작용물질(삼환계 약물, diazepam) / 남용물질(마리화나, 암페타민, 메사돈) / 항결핵약물(isoniazid, ethionamide, thiacetazone)
- 여유증과 관련된 특정약물
cimetidine / spironolactone / ketoconazole
- 여유증과 관련된 기타약물
amiodarone / auranofin / clomiphene / etretinate / metrinidazole / omeprazole / penicillamine / sulindac / theophylline
|
- 1945년경: 8명/100,000명,매우 드물었음
- 최근: 32%-36% 매우 흔합니다.
 |
청소년기에 키가 크고 체중이 불어나면서 호르몬분비의 영향으로 일시적인 경도의 유방 비대가 생기는 경우는 정상이나 과다한 비대가 진행 되었거나, 18-19세의 청소년기의 성장이 멈춘 후에도 유방의 비대가 진행되는 경우는 여유증으로 진단 합니다. |
01. 사춘기 전 남성 여유증 환자 진단 시 고려사항
- 특발성 원인, 약물사용, 조숙사춘기, 여성화 암종(Leydig cell tumor)
- 부신 암종
- 검사항목
- 혈장 에스트라디올
- LH/FSH
- HCG: 증가했을때 고환 초음파 시행
- 골연령
02. 정상 바깥 생식기관을 갖은 사춘기 남성 여유증에서 고려사항
- 생리적
- Kleinfelter 증후군
- 선천성 고환없음증
- 약물사용
- 여성화 암종( Leydig cell tumor)
- 검사항목
- 혈장 에스트라디올 : 높아 있으면 부신 CT
- LH/FSH: HCG가 낮고 LH/FSH가 증가되어 있으면 핵형검사
- HCG 테스토스테론(total, free type)
03. 모호한 바깥 생식기관을 갖은 사춘기 남성 여유증에서 고려사항
- 안드로겐생합성 결손
- 부분안드로겐 저항성
- True hermaphroditism
- 혼합생식샘 발생장애
- 검사항목
- 혈장 에스트라디올
- LH/FSH
- 테스토스테론(total, free type)
- 적응증이 되면 스캔검사
04. 성인 남성 여유증에서 고려사항
- 고환부전( 바이러스성 고환염, 외상)
- 이소성 생식샘 자극 호르몬 합성
- 여성화 부신암종
- 약물사용
- 만성 간질한/ 간경화증
- 신부전
- 갑상선 항진증
- 특발성 원인
- 검사항목
-혈장 에스트라디올
-LH/FSH
-테스토스테론(total, free type)
-HCG
Ix : 유발약물의 중단, 전신 질환의 치료, 생리적 여유증의 시간 경과후에 저절로 줄어 듬
(줄지 않고 오래 지속 시 수술)
임상적인 분류와 그에 따른 치료방법
유방 비대의 양과 특성, 처짐 증에 따른 I등급에서 IV까지 분류

등급 I의 여성형 유방증 환자는 유방비대가 경증(유방조직)
등급 I
- 경증비대(유방조직 < 250gm), 처짐증 없음
- IA 조직유형:?주로 샘조직 - 치료: UAL 또는 SAL
- IB 조직유형: 주로 섬유성 - 치료: UAL 또는 SAL
등급 II
- 중등도비대(유방조직 250~500gm), 처짐증 없음
- IIA 조직유형: 주로 샘조직 - 치료: UAL 또는 SAL
- IIB조직 유형: 주로 섬유성 - 치료: UAL 또는 SAL
등급 III
- 중증비대(유방조직 > 500gm), 등급 I?처짐증
- 조직유형: 샘조직 또는 섬유성 - 치료: UAL + 단계별 절개
등급 IV
- 중증비대(유방조직 > 500gm), 등급 II 또는 III?처짐증
- 조직유형: 샘조직 또는 섬유성 - 치료 : UAL + 단계별 절개
- 수술: 지방흡입과 유선조직의 절제
1)통상의 방법: 피부와 근막 사이의 유방 조직의 비대와 지방조직의 과다한것을 절제해냄.
2)겨드랑이를 통한 지방흡입
3)겨드랑이를 통한 지방흡입과 유륜를 통한 절개와 유선조직 제거
Evolution of surgical Tx
- 1946: Webster-semicircular intraareolar incision
- 1966: pitanguy-horizontal transareolar incision
- 1974: eade-Radial? intraareolar incision
- 1983: Teimourian&perlman-SAL with excision
- 1994: SAL(axillary approach)
- 1998: UAL(used successfully in all? three grades)
01. 진단
02. 앉은 자세에서 디자인
 |
- 절개선: 겨드랑이내의 주름선에서 ant. axillary line가까이
- 흡입부위: 유방의 원둘레 전체, 디자인선은 유방의 외측 경계선 그리고 유방의 확대부분, 유방하 주름선 표시
- +SAL: 겨드랑이 절개통해 흡입
- +UAL: 유방하 주름의 외측 절개선 통해 흡입(가슴의 상외측의 피부가 매우 얇아 열손상 위험 크므로)
|
03. 소독과 drapping : 양팔을 벌린 상태로 supine position
04. 국소마취(tumescent solution):
- N/S 1000cc+ epi 2a+ Lido 800-1000mg
- N/S 1000cc+ epi 1a+ Lido 600-800mg
05. 절개와 catheter guide fixation: full thickness incision: exposes the superficial muscle aponeurosis
06. 절개창을 통해 3mm 캐뉼라로 피하층의 깊은 층(lamellar layer)을 underminig
07. Undermining tunnel을 통해 지방흡입을 시행 합니다.
08. 지방흡입 후 유두 주변이 올라와 보이면 남아있는 유선 조직을 제거(inferior periareolar incision 통해서)
09. 수술 후 처음 24시간 동안은 압박 붕대로 감아 줍니다.
10. 이후에는 replaced by elastic adhesive tape dressing, 압박복 착용:
수술후 24시간 압박 붕대 착용후, 이어서 4주간 24시간 착용 후 4주 이후부턴 밤에만 착용 합니다.
11. Follow up 중에 유두감각의 일시적 변형:
다시 돌아옴 설명 안심 시킴. 피부나 섬유성 조직이 많이 남은 경우:
유륜주위기법 통해 단계별절개법(수술후 6-9개월후에 가능)
 |
- Masked scar
- Smooth contour(no defective contour)
- Rare complication such as hematoma, seroma, lymphatic collection
|

여유증 치료에는 지방흡입술로 치료 시 많은 논문 보고들에서 주요 합병증이나, 혈종, 피부 괴사 등의 발생이 거의 없고 환자의 만족도가 80-90%가 넘는 결과가 훌륭한 수술입니다.